일본 언론이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미국 뉴욕에서 약식회담을 가진 것에 대해 “한국은 일본에 빚을 졌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23일 일본 측 회담 참석자의 말을 인용해 “아무 성과가 없는데 만나고 싶다고 하니 이쪽(일본)은 만나지 않아도 되는데 만났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어 “당연히 다음에는 성과나 진전을 가지고 올 것”이라고 했다.
신문은 그러면서 당시 회담이 성사된 배경을 구체적으로 전했다. 기시다 총리 측에 따르면 당시 한국 정부가 “만나고 싶다”는 요청을 여러 번 했다고 한다. 이에 일본 측이 “이 시간, 장소 밖에는 안된다. 그래도 온다면…”이라고 답하자 “윤 대통령이 일본이 지정한 일시, 장소로 발걸음을 옮기게 됐다”고 전했다.
신문은 정상회담을 둘러싼 한·일 간 갈등이 지난 15일에 시작됐다고 전했다. 당시 한국 대통령실이 이날 회담 개최에 합의했다고 밝히면서 일본 측이 일방적 발표라며 반발했다는 것이다.
신문은 기시다 총리가 “결정되지 않은 것을 말하지 말아라. 역으로 만나지 않겠다”고 주변에 불쾌감을 드러냈다고 했다. 기시다 총리 측근은 “총리가 열 받았다. ‘정말로 만나지 않겠다’고 말했다”고 신문에 밝혔다.
실제 지난 18일 산케이신문 등 다수의 일본 언론은 복수의 자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일 정상회담을 열지 않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산케이신문은 “일본 측은 이른바 징용공(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의 일본식 표현) 소송 문제에 진전이 없는 채 정상회담에 응하는 것에 신중하다”면서 다만 유엔총회에서 양국 정상이 짧은 시간 서서 이야기를 나눌 가능성은 있다고 전망했다.
이후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낮 뉴욕 맨해튼 유엔총회장 인근의 한 콘퍼런스 빌딩에서 30분간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이때 기시다 총리가 참석하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의 친구들’ 행사장에 윤 대통령이 찾아가는 방식으로 대면 회담이 성사됐다.

아사히 신문 웹사이트 캡처